하와이 한인기독교회 [韓人基督敎會] > 크리스천 이승만

본문 바로가기

크리스천 이승만

하와이 한인기독교회 [韓人基督敎會]

페이지 정보

댓글 0건 조회 4,490회

본문

​"나는 조선의 갱생을 위한 유일한 희망이 기독교 교육이라고 믿었으며 내 인생의 목적은 그 일을 준비하는 것이었다."

- 이승만 회고록 -

시대        근대/일제강점기

성격        교회, 무교파교회, 민족교회

설립일시   1918년 7월 29일

설립자     이승만



이승만이 미국 선교단체의 소속이나 간섭 없이 한인들의 자발적인 힘으로 설립한 무교파의 한인교회.



설립목적

한인 이민자들에게 기독교 신앙을 바탕으로 한인 상호간의 결속과 단결, 그리고 민족의식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된 민족교회이다.



연원 및 변천

1903년 2월 하와이에 온 이승만은 하와이 감리교단의 와드맨 감리사의 요청으로 미국 감리교 선교부에서 운영하는 한인기숙학교(곧 ‘한인중앙학원’으로 개칭)의 교장직을 수행하며 한인감리교회의 일에 관여하였다.

이승만은 한인 학생들을 위해 한국어와 한국사 교육을 실시하고 여학생의 수용을 위한 여학생 기숙사 숙소를 마련하는 등 학교 운영에 변화를 주었다. 이러한 변화에 대해 1914년 초 와드맨의 후임으로 온 프라이 감리사가 제동을 걸고 이승만에게 교육에만 전념해 줄 것을 요청하자, 이에 반발한 이승만은 한인중앙학원 원장직을 사임하였다. 이승만은 하와이 한인들에게 독립된 한인 학교와 한인 교회의 설립을 역설하고 설립에 필요한 재정지원을 호소하였다. 그 결과 한인들의 성금과 하와이 대한인국민회의 재정지원에 힘입어 1916년 여학생 중심의 한인여학원을 설립하였다. 1918년 9월 그는 이 여학교를 한인기독학원으로 개명하고 남녀 공학제인 민족교육기관을 만들었다.

독자적인 학교 설립이후 1917년 초부터 이승만의 견해를 지지하는 감리교 교인 30여 명이 릴리하(Liliha)가에 위치한 여학생기숙사에 모여 별도의 예배를 갖기 시작하였다. 이들 교인들은 한인여학원 처럼 미국 감리교 선교부의 통제를 받지 않는 독자적인 교회 설립을 추진할 것을 결의하고, 1918년 7월 29일 호놀룰루에 신립교회(新立敎會)를 설립하였다. 그러다가 1918년 12월 23일 교회 평신도회에서 교회 명칭을 한인기독교회(The Korean Christian Church)로 바꾸기로 결정하였다. 이로써 하와이 한인사회에 이승만이 이끄는 새로운 민족교회가 정식으로 탄생하였다.

한인기독교회는 미국의 어느 교단, 교파에도 속하지 않은 무교파의 자치 교회로 미국 회중교회(Congregational Church)의 모범을 따랐다. 이에 ‘자유교회’ 또는 ‘독립교회’로 불리었다. 교회는 평신도 위주의 민주주의적 원칙에 입각하여 운영되었고, 장로와 집사가 없이 창립자이자 선교부장을 자처한 이승만의 지도하에 이사원에서 모든 치리를 담당하였다. 한인기독교회는 호놀룰루의 교회 외에 오하우 섬 와히아, 하와이섬 힐로, 마우이섬 파이아 등 3곳에 더 설립되었고, 1936년에는 미국 로스앤젤레스에도 설립되었다. 1938년 당시 5개의 한인기독교회에 적을 둔 세례 교인수는 1,263명에 달했다.

한인기독교회는 1921년 스쿨(School)가에 첫 교회당을 마련하였다가 1928년 예배당 확장을 목적으로 방매한 후 약 10년간 신흥국어학교 교실에서 예배를 가졌다. 그러다 1938년 4월 24일 릴리하 스트리트에 서울 경복궁의 광화문을 본 딴 예배당을 갖추었다. 이승만 중심으로 창립된 교회여서 그를 추종하는 교인들로 주를 이루었고, 3·1운동 이후에는 이승만의 정치활동을 후원하는 성격을 강하게 가졌다. 교회 지도자들로 활동한 인물로는 민찬호, 이종관, 박동완, 강태희, 이명우, 이용직, 김형식, 김창순, 유경상, 김태묵, 김치현 등이다.



의의와 평가

이승만의 정신과 사상이 잘 녹아 있으면서 어느 교단에 소속되지 않고 자주적이고 독립적으로 운영되었고 이승만의 외교활동을 도우며 한국독립운동에 기여한 민족교회이다.

이승만이 스스로 미국인선교부의 보호망에서 벗어나 한국인 자력으로 출범시킨 해외 최초의 민족교회였다는 점에서 한국개신교 역사상 특기할 만한 것이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 한국학중앙연구원



38a169fd760f39d8f59279d3cae3db83_1538922026_8129.jpg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Miracle of Korea All rights reserved